목록Network & Security (16)
우노

패킷 통신이란? 데이터를 패킷이라고하는 작은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IP (Internet Protocol) 란? IP는, 패킷 데이터들을 최대한 빨리 특정 목적지 주소로 보내는 프로토콜입니다. 빨리 보내는게 목적이기 때문에, 패킷 전달 여부를 보증하지 않으며, 패킷을 보낸 순서와 받는 순서가 다를 수 있습니다.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란? 패킷 통신은, 데이터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기 때문에, 순서가 뒤섞이거나 내용이 유실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TCP 라는 프로토콜이 존재합니다. TCP는, 패킷을 정상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꼼꼼하게 보내는게 목적이기 때문에, IP 보다 ..

패리티 비트란? 송신 컴퓨터에서 수신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는, 컴퓨터에 연결된 전선을 타고, 이진수의 전기 신호로 전달됩니다. 하지만, 전달하는 과정에서 데이터에 오류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송신 컴퓨터는, 수신 컴퓨터에서 해당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진수 데이터의 끝에, 0 또는 1 의 패리티 비티를 붙여 보냅니다. 따라서, 수신 컴퓨터는, 수신 받은 데이터의 끝에 붙은 패리티 비트를 보고, 해당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여, 오류가 있다면 송신 컴퓨터에게 데이터 재송신을 부탁하게 됩니다. 패리티 비트의 종류 패리티 비트는 '짝수 패리티' 와 '홀수 패리티' 가 존재합니다. 송신자는, 사용하는 패리티 종류에 따라 데이터에 다른 bit..
Ping 이란? Paket Internet Groper의 약어이며, 컴퓨터 네트워크 상태를 점검, 진단하는 명령어입니다. 작동 원리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려는 대상(target)을 향해 일정 크기의 패킷(packet, 네트워크 최소 전송단위)을 보낸 후(ICMP echo request) 대상 컴퓨터가 이에 대해 응답하는 메시지(ICMP echo reply)를 보내면 이를 수신, 분석하여 대상 컴퓨터가 작동하는지, 대상 컴퓨터까지 도달하는 네트워크 상태가 어떠한지 파악할수 있습니다. Ping 사용법 ping [목적지] [옵션] 옵션은 생략 가능합니다. Ping 사용 예제 (로컬 호스트와 통신) 로컬 호스트는 자신의 컴퓨터를 의미하며, 보통 자신의 컴퓨터가 인터넷과 정상적으로 연결되어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

SSL(Secure Socket Layer) 프로토콜 SSL은 CA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암호화된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방식이다. HTTP & HTTPS HTTPS는 HTTP를 안전하게 만드는 방식이며, SSL 프로토콜 위에서 돌아가는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HTTP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해 이루어지는 요청/응답 프로토콜(양식과 규칙의 체계) 암호화되지 않은 방법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악의적인 감청, 데이터 변조의 가능성)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 보안이 강화된 HTTP이며, 모든 HTTP 요청과 응답 데이터는 네트워크로 보내지기 전에 암호화된다. HTTPS는 HTTP의 하부에 SSL과 같..

패킷 패킷이 LAN과 WAN에서 어떻게 전달되는지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 과정을 이해하면 네트워크 보안의 많은 부분을 이해할 수 있다.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패킷은 어떻게 전달되는지 그림을 통해 살펴보자 인터넷 구조 먼저 간단한 구조로 인터넷을 이해해보자 위 그림은 인터넷을 극단적으로 간단하게 그린 것이다. 왼쪽과 오른쪽에 구름형태로 LAN(Local Area Network)이 있다. 왼쪽 LAN PC0의 IP는 192.168.161.230 PC1의 IP는 192.168.161.235 PC2의 IP는 192.168.161.240 오른쪽 LAN PC3의 IP는 192.168.162.230 PC4의 IP는 192.168.162.235 PC5의 IP는 192.168.162.240 가운데의 파란색 네모..

프로토콜 통신 시 고려해야하는 것 confidentiality (기밀성) 메세지에 대한 내용을 서로만 알 수 있도록 하는 것 integrity (무결성) 메세지의 내용이 중간에 변조되지 않도록 non-repudiation (부인 방지) 메세지를 받았을 때 Bob이 딴소리 하지 않도록 efficiency (효율성) 너무 큰 메시지를 전달하지 않도록 access and availability (가용성)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은 시점에 이용할 수 있어야한다. authentication (인증) Security Protocol(암호화 프로토콜)이란? Alice가 Bob에게 메세지를 보낸다고 가정했을 때 다음 3가지 암호화 프로토콜을 사용해 통신할 수 있다. symmetric-key (대칭키) asymmetr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