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노
[BFS] 이코테 “인구 이동” Python 풀이 본문
문제
- N×N크기의 땅이 있고, 땅은 1×1개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 각각의 땅에는 나라가 하나씩 존재하며, r행 c열에 있는 나라에는 A[r][c]명이 살고 있다.
- 인접한 나라 사이에는 국경선이 존재한다.
- 모든 나라는 1×1 크기이기 때문에, 모든 국경선은 정사각형 형태이다.
- 오늘부터 인구 이동이 시작되는 날이다.
- 인구 이동은 하루 동안 다음과 같이 진행되고, 더 이상 아래 방법에 의해 인구 이동이 없을 때까지 지속된다.
- 국경선을 공유하는 두 나라의 인구 차이가 L명 이상, R명 이하라면, 두 나라가 공유하는 국경선을 오늘 하루 동안 연다.
- 위의 조건에 의해 열어야하는 국경선이 모두 열렸다면, 인구 이동을 시작한다.
- 국경선이 열려있어 인접한 칸만을 이용해 이동할 수 있으면, 그 나라를 오늘 하루 동안은 연합이라고 한다.
- 연합을 이루고 있는 각 칸의 인구수는 (연합의 인구수) / (연합을 이루고 있는 칸의 개수)가 된다. 편의상 소수점은 버린다.
- 연합을 해체하고, 모든 국경선을 닫는다.
- 각 나라의 인구수가 주어졌을 때, 인구 이동이 며칠 동안 발생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조건
- 첫째 줄에 N, L, R이 주어진다. (1 ≤ N ≤ 50, 1 ≤ L ≤ R ≤ 100)
-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각 나라의 인구수가 주어진다.
- r행 c열에 주어지는 정수는 A[r][c]의 값이다. (0 ≤ A[r][c] ≤ 100)
- 인구 이동이 발생하는 일수가 2,000번 보다 작거나 같은 입력만 주어진다.
출력 조건
- 인구 이동이 며칠 동안 발생하는지 첫째 줄에 출력한다.
입력 예시
2 20 50
50 30
20 40
2 40 50
50 30
20 40
2 20 50
50 30
30 40
3 5 10
10 15 20
20 30 25
40 22 10
4 10 50
10 100 20 90
80 100 60 70
70 20 30 40
50 20 100 10
출력 예시
1
0
1
2
3
풀이
- 모든 나라의 위치에서 DFS 혹은 BFS를 수행하여 인접한 나라의 인구수를 확인한 뒤에, 가능하다면 국경선을 열고 인구 이동 처리를 진행하면 됩니다.
- 세부 알고리즘은 아래 예제 코드와 같습니다.
예제 코드
# https://www.acmicpc.net/problem/16234
# PyPy3 로 제출해야합니다.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 땅의 크기 n과 l, r 입력
n, l, r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 땅 입력
graph = []
for _ in range(n):
graph.append(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 상하좌우 탐색용 인덱스
dx = [-1, 1, 0, 0]
dy = [0, 0, -1, 1]
# 지난 날짜
date = 0
# 현재 나라와 연합할 수 있는 나라 탐색 후, 연합
def process(x, y, union_number):
# (x, y)의 위치와 연결된 나라들의 정보를 담는 리스트
countrys = []
countrys.append((x, y))
# 현재 나라를 큐에 삽입
q = deque()
q.append((x, y))
# 현재 연합의 번호 할당
union[x][y] = union_number
# 현재 연합의 국가 수
summary = graph[x][y]
# 현재 연합의 나라 수
count = 1
# 현재 나라와 연합할 수 있는 모든 나라 탐색
while q:
now = q.popleft()
# 이웃 나라 탐색
for k in range(4):
nx = now[0] + dx[k]
ny = now[1] + dy[k]
# 이웃 나라가 지도 내부에 존재하고, 방문한 적이 없고, 인구 차이가 l 이상 r 이하라면
if (0 <= nx < n and 0 <= ny < n and union[nx][ny] == -1 and l <= abs(graph[nx][ny] - graph[now[0]][now[1]]) <= r ):
# 현재 연합 번호 할당
union[nx][ny] = union_number
# 큐에 삽입
q.append((nx, ny))
# 연합 별 인구 수, 나라 개수, 좌표 추가
summary += graph[nx][ny]
count += 1
countrys.append((nx, ny))
# 연합 국가끼리 인구를 분배
for i, j in countrys:
graph[i][j] = summary // count
# 더 이상 인구 이동을 할 수 없을 때까지 반복
while True:
# 연합 정보 저장
union = [[-1]*n for _ in range(n)]
# 연합 번호
union_number = 0
# 모든 좌표 탐색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 현재 나라의 아무런 연합이 없을 경우, 새로운 연합 탐색
if (union[i][j] == -1):
# 현재 나라와 연합할 수 있는 나라 탐색 후, 연합
process(i, j, union_number)
# 연합 번호 추가
union_number += 1
# 모든 인구 이동이 끝난 경우
if (union_number == n*n):
break
# 지난 날짜 추가
date += 1
print(date)
참고
-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python
'Algorithm > BFS' 카테고리의 다른 글
[BFS] 이코테 “블록 이동하기” Python 풀이 (0) | 2022.09.16 |
---|---|
[BFS] 이코테 “경쟁적 전염” Python 풀이 (0) | 2022.09.11 |
[BFS] 이코테 “연구소” Python 풀이 (0) | 2022.09.08 |
[BFS] 이코테 “특정 거리의 도시 찾기” Python 풀이 (0) | 2022.09.08 |
[BFS] 이코테 “미로 탈출” Python 풀이 (0) | 2022.06.05 |
Comments